본문 바로가기

나는 서브쓰리를 꿈꾼다.

원희룡

작가분은 우리나라에서 유명한 정치인이다. 그래서 그런지 책에 대한 선입견이 있었서 읽는 것을 미루고 있었는데, 갑자기 책제목이 "서브쓰리?" 무슨 뜻이지? 하면 책을 읽었다. 작가는 신체적 어려움을 극복하면서 마라톤을 달리고 있고, 마라톤을 달리게 된 이야기 및 인생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하고 있다. 서브쓰리란 마라톤을 3시간에 완주하는것으로 일반인이 하기는 굉장히 어려운것으로 알고있다. 

또한 작가는 학력고사 1등의 서울대를 입학한 수제다. 이때문에 책내용에 공부에 대한 내용이 있어서 의외로 흥미를 끄는점이 있다. 이부분이 도움이 될수 있을것 같아 작가의 조언을 정리하였다.

 


계획성 있는 공부를 위하여

 

1. 시간관리

1) 시간을 알차게 사용하는 비결

- 어떻게 계획할 것인가.

  • : 1단계: 하루의 일과를 기록하자
  • : 2단계: 내일 하루의 계획을 수립하자.
  • : 3단계: 중장기 목표를 수립하자.
  • : 4단계: 계획을 평가하고 관리하자. 

2) 짜투리 시간은 선물이다.

2.공부의 자세

1) 느낌표에는 언제나 물음표가 있어야 한다.

2) 공부도 재미있는 놀이, 책과 싸우지 말고 놀아보자.

3.목적이 있는 공부

1) 물음이나 과제를 분명히 한다.

2) 수시로 공부의 진행성과를 점검하자

3) 아는 것과 모르는 것을 파악하자

4. 나만의 학습법

  • 1) 자신에게 맞는 집중학습을 선택하라
  •         - 예습을 할 것인가, 복습을 할것인가.
  • 2) 내용을 분해하고 조립하자.
  • 3) 윤곽을 잡고 내용에 들어가라
  • 4) 문제의 출제자가 되자.
  • 5) 시각화의 효과
  • 6) 하이퍼링크, 관련정보로 기억하기
  • 7) 연상기억
  • 8) 자기 스스로 정리해 보는 습관
  • 9) 재미있고 자극이 되는 방법들을 활용하자.

5. 슬럼프도 필수 코스이다.

  • 1) 흐트러진 계획의 신속한 회복
  • 2) 나의 슬럼프 극복법
  • 3) 가장 기술적인 휴식

- 절대적으로 혼자 있는 시간을 만들어라.

- 잠을 잘 자야 한다.

- 음악은 지친 마음을 치료한다.

- 비우면 더 많이 채울 수 있다.

6. 목표와 희망은 젊음의 특권이다.

 


목차

프롤로그 달리기는 늘 새로운 꿈을 꾸게 한다.

 

1.스타트 라인에 서다

1. 첫 번째 풀코스의 경험

2. 도서관을 나오다

3. 그들을 위해 살겠다.

4. 새로운 세계로의 마중

5. 공공의 적과 맞서다.

 

2.마라톤에서 배운 것들

1. 달리기를 결심하다.

2. 마라톤에서 정직을 배우다

3. 아버지가 가르쳐 준 것들

4. 세상은 공평하지 않다.

 

3.작은 발걸음이 모여

1. 김일과 차범근이 있었기에

2. 내 영혼의 책상, 사과상장

3. 무단 결석을 다스리는 법

4. 거기 에버랜드가 있었다.

5. 고맙다. 용가리야!

6. 전설로 바뀐 소문

7. 난 훔치지 않았어요.

 

4.길 위에서 만난 사람들

1. 러너들의 세계

2. 특별한 인연

3. 테레비랑 둘이 살지

4. 재난의 땅에 구호의 꽃을ㄹ 피우자

5. 섬김의 공간을 선택하라.

 

5.데드포인트를 넘어 서브쓰리를 향해

1. 아마추어 마라토너의 꿈, 서브쓰리

2. 사법고시, 새로운 길을 선택하다

3.열매는 폭풍 속에서 익는다.

4. 정치 인생의 데드포인트, 탄핵

5. 용기라는 이름의 보딩패스가 필요하다.

6. 등판하라, 마운드는 너의 것이다.

7. 혁신가가 필요하다.

 

6.나를 단련하는 시간

1. 과학적인 훈련은 성공적인 완주의 필수 요소

2. 공부법에 관한 질문

 

집중과 몰입의 비결

계획성있는 공부를 위하여

1. 시간관리

2.공부의 자세

3.목적이 있는 공부

4.나만의 학습법

5.슬럼프도 필수코스다

6.목표와 희망은 젊음의 특권이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흔 살의 책읽기  (0) 2022.02.19
하늘 호수로 떠난 여행  (0) 2022.02.18
돈 버는 사람은 분명 따로 있다.  (0) 2022.02.18
왜 공부하는가  (0) 2022.02.05
내가 상상하면 현실이 된다.  (0) 2022.02.05